티스토리 뷰

꽹과리·징·장구·북·소고 등의 타악기와 태평소 등으로 연주하는 타악기 중심의 음악으로서, 지방에 따라 풍물, 풍장, 두레, 매구, 매굿, 굿 등으로 불려 왔으며 마을의 제사가 있을 때, 농사일을 할 때, 또는 마을 사람들의 구경거리를 위하여 연주하였다. 풍물놀이는 음악뿐만 아니라 춤과 놀이도 함께 하는 비교적 종합적인 연주 형태이다.


유래

풍물놀이의 기원이 언제부터인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문헌에 의하면 상고시대까지 거슬러 올라 가기도 한다. 그러나 문헌에 나타나는 그 놀이가 과연 지금의 풍물놀이와 같은 형태인지, 아닌지는 분명하지 않으며, 그 유래 또한 다양하다. 풍물놀이라면 음악의 일부라 생각하나 사실은 어떤 목적을 위한 민속놀이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으며, 풍물놀이란 원래 '굿'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굿의 다른 말이라고도 한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다양한 풍물놀이가 사라져 가고 있으며 타지방의 풍물놀이와 혼합되어 각 지방의 특색이 흐려지는 등, 풍물놀이의 고유한 전통이 약화되고 있다.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는 농악에는 평택 평궁리농악·부여 추양농악·이리농악·남원 금지농악·진안 도통농악·임실 필봉농악·화순 한천농악·영광농악·삼천포농악·부산 아미농악·청도 차산농악·대구 고산농악·강릉농악 등이 있다.


구성

풍물놀이를 할 때 하는 놀이에는 군사들의 훈련이나 농사일을 흉내내어 여러 모양으로 돌면서 진을 꾸미며 노는 진놀이와 농악대원들의 여러 가지 솜씨를 보여주는 구정놀이가 있다. 진놀이에는 미지기·이방진·삼방진·사방진·오방진·멍석말이·달어치기 등이 있고, 구정놀이에는 장구놀이·상쇠놀이·법고놀이·무동놀이·동고리·열두발채상·설장구놀이 등이 있다. 풍물놀이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을 잽이라 하고, 여러 모양의 분장을 하고 익살스런 재주를 보여주는 대포수, 조리중, 창부(唱夫:남자광대), 양반, 각시 ,무동 등의 사람들을 잡색(雜色)이라고 한다.


성격과 지역적 분류

1. 성격에 의한 분류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당산굿, 신대나 신기를 앞세우고 악대,제관 순으로 집집마다 방문하며 마을의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 들인다고 하는 매굿, 지신(地神)밟이, 마당밟이, 걸립패들이 집집마다 돌면서 고사도 지내고 농악도 연주하는 걸립굿, 농부들이 패를 짜서 김을 매거나 호미걸이를 할 때 하는 두레굿, 그리고 마을 사람들의 구경거리를 위하여 춤·놀이 등과 함께 하는 판굿 등이 있다.


2. 지역적 분류

호남우도풍물
가락과 놀이 형태가 다양하고 여성스러우며 부드럽고 비교적 들녘이 넓은 지역으로 이리, 부안, 김제, 고창, 정읍, 장성, 영광 등의 지역이며, 쇠가락과 장구 가락이 잘 발달되어 있고 특히 설장구 놀이가 뛰어나다.

호남좌도풍물
지리산을 중심으로 산간 지역에서 발전되었고, 남성적인 가락으로 되어 있다. 전주, 완산, 진안, 무주, 장수, 임실, 남원, 순창, 구례, 곡성, 화순, 순천 등의 지역으로 개인놀이 보다 단체 놀이를 중요시하며, 전원이 전립을 쓰고 상모를 돌리는 웃놀음이 발달하였다. 쇠가락이 빠르고 박진감이 있으며 가락을 자주 내고 맺는다.

경기,충청풍물
가락의 경쾌함이 짙게 보이며 안성, 평택, 이천, 용인, 화성, 부천, 김포, 서천, 공주, 논산, 부여, 홍성 등의 지역으로 두레굿과 걸립풍물이 발달하였고 비교적 빠른 가락과 느린 가락을 고루 사용하여 경쾌함을 느낄 수 있다.

영동지방풍물
가락이 단조롭고 전투적이며 강릉, 삼척, 울진, 정선, 평창, 동해등 동해안 지역으로 굿과 관련된 축원과 농사풀이가 발달하여 여러 동작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영남풍물
가락이 남성적이고 씩씩한 대구, 달성, 김천, 서산, 영천, 청도 등의 지역과 놀이적 성격이 다른 밀양, 삼천포, 진주, 마산, 부산 등의 지역으로 쇠가락의 섬세함이 발달하였고 북소리가 중요시되고 웅장한 소리를 느낄 수 있으며 비교적 빠른 가락이 많다.

   

음악의 멋

농악은 음악이기 이전에 먼저 삶 그 자체이다. 땅과 하늘을 의지하며 살아온 우리 조상들의 삶과 역사가 스며있는 음악이다. 농악의 소리는 그 모든 삶의 농축이 오늘 그 자리에 소리로 구현되는 한 단면이다. 그 단면을 보면서 보이지 않는 전체를 보는 눈이 있다면 그 사람은 농악의 참된 감상자가 될 수 있다. 
-권덕원-

농악은 땅에 뿌리박은 농민들의 예술이요 삶이며 단결된 힘을 샘솟게 하는 원천이다. 
-김용진-

농악을 두고 굳이 장단이 어떻고 악기 편성이 어떠하며 놀이 전개가 어떻다고 도식적인 설명을 곁들이는 것은 부질없는 짓일지도 모른다. 농악은 음악이되 음악 이상의 그 무엇과 연결되어 있고, 민속놀이되 놀이 이상의 그 무엇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 빼어난 상쇠가 즉흥적으로 엮어내는 천변 만화의 리듬과 가락, 여기에 징이며 장구며 태평소 같은 악기들이 때로는 우쭐되고 때로는 자지러지며 맺고 풀고 죄어가며 온갖 악흥의 파노라마를 펼쳐가는 농악은, 그래서 차라리 음악이기에 앞서 하나의 도도한 감성의 흐름이요, 거대한 생명체의 용트림이다. 농악의 정체를 한마디로 언급하기 어려운 것도 바로 이 농악이 지니는 무한한 가변성, 흥 따라 변해가는 무궁무진한 즉흥성 때문이다. 
-한명희-

'한국음악, 갈래이야기 > 기악 연주형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조(散調)  (0) 2010.05.31
사물놀이  (0) 2010.05.31
시나위  (0) 2010.05.31
대풍류  (0) 2010.05.31
영산회상(靈山會相)  (0) 2010.05.3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