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불교의 성악곡이 기악화한 곡으로 모두 9개의 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에는 이런 모음곡으로 틀을 갖춘 하나의 곡이 다시 악기편성, 악곡구성, 음악의 쓰임, 선율형태 등을 달리하면서 다른 파생곡이 생기게 되었다.
유래
영산회상은 불교음악이 세속음악으로 변화한 음악이다. 15세기의 음악을 기록한『대악후보』와 1493년에 만들어진『악학궤범』에 기록된 영산회상은 처음에는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相彿菩薩)'이라는 불교가사를 관현악 반주로 노래하던 불교음악이었으며, 또한 향악정재의 반주 음악으로 사용되었다고 전한다. 이와같이 본래 불교의 성악곡이던 영산회상이 중종(1506-1544)때 이르면 불교가사가 '사만년사'로 개작되고 세속화하기 시작하여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가사는 없어지고 순 기악곡으로 변화한다. 그 예로 19세기 초 악보인『유예지』에는 가사는 없고 기악곡으로만 기록되어 있으며 그로부터 파생된 곡들이 포함되어 있다.
현행 영산회상에는 가사로 노래하던 상령산(上靈山)에서 파생한 중령산(中靈山), 세령산(細靈山), 가락덜이가 있고 후에 추가된 삼현(三絃)도드리와 그의 변주곡인 하현(下絃)도드리 그리고 불교노래의 하나인 염불도드리가 있으며, 또 불교음악과는 무관한 타령(打令), 군악(軍樂)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같이 영산회상은 상령산 한곡에서 비롯하였으나 그로부터 중령산 등이 파생되고 새로운 곡이 결합하며서 전체 9곡에 이르는 모음곡을 완성하였다.
영산회상은 악기편성, 선율형태, 연주방법 등에 따라 영산회상 즉, 현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 등의 세가지가 있다. 그리고 현악영산회상은 도드리, 천년만세 등과 결합하여 여러가지 형태로 연주된다.
종류 및 곡의 구성
현악영산회상 |
: |
거문고회상, 중광지곡(重光之曲) |
|
|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9곡) |
관악영산회상 |
: |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 |
|
|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8곡) |
평 조 회 상 |
: |
유초신지곡(柳初新之曲), 취태평지곡(醉太平之曲) / 함령지곡(咸寧之曲), 향당교주(鄕唐交奏) |
|
|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8곡) |
별 곡 |
: |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
천 년 만 세 |
: |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
연주악기
현악영상회상 |
: |
세피리, 대금, 해금, 가야금, 거문고, 장구, (양금, 단소) |
관악영산회상 |
: |
향피리, 대금, 해금, 북, 장구, (아쟁, 당적) |
평 조 회 상 |
: |
피리, 대금, 해금, 가야금, 거문고, 장구 |
가. 현악영산회상(絃樂靈山會相)
율방을 중심으로 연주되던 소규모의 실내 합주음악이며, 조선시대 중인과 선비계층 등 음악애호가들이 즐기던 음악이다. 거문고 선율을 중심으로 연주한다고 하여 「거문고회상」이라고도 하고 「중광지곡(重光之曲)」이라는 이름도 있으며, 현악기라는 말을 빼고 「영산회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연주 악기
음량이 적은 세피리와 대금, 해금, 가야금, 거문고, 장구, 단잽이며, 근래에는 단소와 양금이 함께 연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악기편성의 관현합주 음악을 '줄풍류'라고 부르기도 한다.
※ 줄풍류:현악기를 주로 하는 즐기기 위한 음악
특징
- 상령산에서 군악까지 9곡만을 연주하는 것을 민회상이라 하고, 그 9곡 뒤에 천년만세(千年萬歲)를 덧붙여 연주하는 것을 가진회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거문고·가야금 등의 현악기 소리를 드러내 주기 위하여 피리는 음량이 적은 세피리를 사용하고 대금은 저취와 평취로 연주하며 장구도 변죽을 치는 등 전체적인 음량이 현악기에 맞추어 연주된다.
- 가장 느린 음악인 상령산에서부터 빠른 속도의 타령·군악에 이르기까지 점점 빨라지는 구성방식을 취한다.
- 소규모 실내합주 음악으로 곡의 흐름은 물 흐르듯 완만하며 단아한 기상이 깃들어 있다.
- 현악영산회상의 연주와 관련하여 별곡(別曲)이라고 하는 특별한 연주 방법(혹은 이 방법으로 연주하는 곡 전체를 일컫는 이름)이 있다. 별곡은 현악영산회상 중간에 도드리를 넣어 연주하는 별개의 곡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정상지곡'이라는 이름도 있다.
별곡은 줄풍류 음악에 해당되며, 별곡의 연주 방법은 다음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상령산부터 시작하여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4장까지 연주하고, 도드리 초장으로 넘어가 7장까지 연주한 다음 다시 삼현도드리 4장만을 연주하고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에 이어서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주가락도드리까지 계주하는 방법
- 첫번째의 순서에서 천년만세 즉,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를 빼고 군악까지만 계주하는 방법
- 도드리부터 시작하여 우조가락도드리까지 계주하는 방법
- 도드리에서 시작하여 계면가락도드리, 양청가락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를 빼고 군악까지 계주하는 방법
나. 관악영산회상(管樂靈山會相)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영산회상으로 삼현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또는 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이라고도 하는데 삼현영산회상은 삼현육각의 악기 편성에 의한 영산회상이란 뜻에서 유래한 것이다.
연주악기
기본적인 악기 편성은 대금·향피리·해금·좌고·장구 등으로 이루어진 삼현육각(三絃六角)이지만, 때에 따라 아쟁·소금 등이 추가되기도 한다.
특징
- 이 곡은 "대풍류"라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대나무로 만들어진 피리, 대금, 등의 관악기가 중심이 되어 연주하는 풍류음악이는 뜻이다.
- 현악영산회상과의 큰 차이점으로는 하현도드리가 없이 모두 8곡으로 이루어져 있고 음량이 큰 관악기가 중심이 되어 편성되는 음악인만큼 대금은 역취를 많이 쓰고 장구의 채편은 북판을 치는 등 현악영산회상에 비하여 합주 소리가 크고 시원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 첫번째 곡인 '상령산'의 장단은 일정한 길이로 반복되지 않는데 이는 절주가 신축적이고 다소 불규칙적으로 연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피리와 장구 연주자의 호흡이 중요하다.
- 향피리가 주선율을 연주하다가 얼마간 쉬고 있을 때 대금·해금 등의 악기들이 그 뒷가락을 이어서 연주하는 '연음(連音)'형태가 있다.
- 삼현영산회상의 악기 편성이 삼현육각이라는 것이 말해 주듯 이 음악은 특히 무용의 반주 음악으로 많이 사용된다.
- 느린 상령산에서부터 속도가 빠른 타령·군악에 이르기까지 점점 빨라지는 음악구성 형태를 지니고 있다.
- 관악영산회상의 악곡 가운데 삼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을 따로 떼어서 연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함령지곡(咸寧之曲)이라 한다. 그리고, 상령산을 따로 떼어 연주하는 것을 향당교주(鄕唐交奏)라고 한다. 이와 같은 함령지곡과 향당교주는 특히 정재(呈才)의 반주 음악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다른 음악에 비해 길게 끄는 높은음이 상대적으로 많아 현악기로서는 맛볼 수 없는 독특한 맛이 있다.
다. 평조회상(平調會相)
본래의 영산회상(현악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낮게 조옮김하여 변화시킨 음악으로 유초신지곡(柳初新之曲), 또는 취태평지곡(醉太平之曲)이라고 부른다. 평조회상에서의 조옮김은 서양음악처럼 완전한 형태로 조옮김한 것은 아니고, 악기의 주법과 음역에 맞도록 선율을 변형시키는 조옮김이다.
연주악기
대금·향피리·해금·거문고·가야금·아쟁·좌고·장구
특징
- 평조회상의 '평조'라는 용어는 조의 명칭으로서가 아니라, 황종 계면조인 현악영산회상에 비해 낮은 조(임종 계면조)라는 뜻에서 평조라고 한다.
- 향피리 중심의 대편성으로 연주할 수 있는 관현합주음악이다.
- 평조회상의 상령산은 대금, 피리, 단소의 독주곡으로 연주하기도 한다.
- 하현도드리는 음익 낮아 연주하기 어려워 제외되어 관악영산회상처럼 8곡으로 연주한다.
- 이 곡은 궁중무용의 하나인「춘앵전」의 반주곡으로 사용된다.
각 곡의 특징
상 령 산 |
: |
초기의 영산회상에 해당된다. 그래서 다른 이름으로는 긴영산 또는 본영산이라고도 한다.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악영산회상에서는 제1장의 처음 5박을 거문고가 독주를 한 후 합주가 이어진다. |
중 령 산 |
: |
상령산에서 파생된 곡으로 상령산과 동일한 장단을 사용한다.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5장의 마지막 장단에서 속도가 빨라져 세령산과 이어진다. |
세 령 산 |
: |
일명 잔영산 이라고도 하며 중령산의 가락을 세분한 곡으로 10박을 1장단으로 하고 있으며 모두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의 종지 악절이 같은 선율로 이루어져 있다. |
가락덜이 |
: |
세령산의 1장에서 3장까지의 가락을 줄여서 변주한 곡으로 세령산과 같은 장단으로 연주하며 각 장 종지 악절의 선율이 세령산과 마찬가지로 같은 선율로 이루어져 있다. |
삼현도드리 |
: |
1장의 첫 장단은 '돌장'이라고 하여 가락덜이와 같이 10박으로 되어 있어 연결시켜준다. |
하현도드리 |
: |
하현이란 낮은 선율이 흐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삼현도드리 제2장 이하를 변주한 곡으로 모두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현도드리와 마찬가지로 6박의 도드리 장단으로 연주하며 삼현도드리보다는 다소 느리게 연주한다. |
염불도드리 |
: |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현도드리와 같은 도드리 장단을 사용한다. '육자염불'이라는 불교의 노래가 삽입된 것이다. 제2장의 중간 부분(10째 장단)부터 빨라진다. |
타 령 |
: |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쾌한 느낌을 주는 곡으로 12박의 타령 장단으로 연주한다. |
군 악 |
: |
현악영산회상의 마지막 곡으로 4장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타령 장단과 같은 장단으로 조금 빠르게 연주한다. 첫 장단은 계면조로 시작하지만 둘째 장단부터 평조로 바뀐다. |
음악의 멋
형식을 보면 현악영산회상은 아정하고 정대하며 유연하고 심오하며 단아하고 섬세한 곡풍이며, 관악영산회상은 힘차고 장려하며 호탕하고
꿋꿋한 선율과 활기 넘치는 음악으로 주로 무용반주 음악으로 연주되고 평조회상은 부드러우며 따뜻하고 정감이 넘치는 곡풍이다.
-김용진-
곡의 흐름은 물 흐르듯 완만하며 단아한 기상이 깃들어 있다.
-백대웅-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