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통사회에서 전승되어 조선말기에서 20세기 초에 특히 성행하였던 노래의 하나로서 전문예능인들의 노래, 곧 기생·사당패·소리꾼과 같은 전문가들이 긴 사설을 기교적 음악어법으로 부르는 노래를 잡가라고 하며 이보다 단순한 비전문가들의 노래인 민요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쓰인다. 불려졌던 지역에 따라 경기잡가, 서도잡가, 남도잡가로 나누며, 서서 부르는 입창(立唱:선소리)도 잡가에 포함된다.

잡가는 반드시 스승으로부터 배우는 과정을 거쳐서 이어져 오고 있으며 긴 사설을 통절형태로 노래하는 것이 보통이고 앉아서 노래할 때와 서서 노래할 때에 격실을 달리한다. 특히 선소리는 소고를 든 여러 사람의 소리꾼들이 소고를 치고 발림춤을 추면서 부르는데 이는 우리나라 민속악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연행 형태다.
 

경기잡가(京畿雜歌)

서서 부르는 입창(선소리)과 앉아서 부르는 좌창으로 나눈다.

1. 산타령(선소리)

서서 신나게 부르는 노래로 장고를 맨 '모갑이'와 소고를 든 여러 소리꾼이 메기고 받는 형태로 노래한다. 놀양-앞산타평-뒷산타령-자진산타령(도라지타령)의 순서로 부른며 선소리패라 불리는 뚝섬패·왕십리패· 성북동패·과천패 등이 특히 유명하였다. 사설내용은 산·강·절 등 자연을 읊은 노래이며, 놀량은 '아에야' 등 입타령 위주이고, 자진타령은 판소리류의 서사적인 것도 섞여 있다. 이 경기입창이 다른 지역으로 퍼져 나가면서 서도입창과 남도입창이 발전하게 되었다.

2. 12잡가

서울을 중심으로 경기지역에서 불려졌던 잡가로 앉아서 부르며, 좌창 또는 긴잡가라고도 한다. 가사내용은 판소리처럼 서사적 이야기이고, 처음에는 유산가(遊山歌)·적벽가(赤壁歌)·제비가(연자가:연子歌)·집장가(執杖歌)·소춘향가(小春香歌)· 선유가(船遊歌)·형장가(刑杖歌)·평양가(平壤歌) 8잡가였으나 후에 달거리(월령가:月令歌)·십장가(十杖歌)·출인가(出引歌)·방물가(房物歌) 등이 덧붙여져 12잡가가 되었다.
장단은 대개 6박자의 도드리 장단으로 되어 있으나, 집장가만은 세마치 장단으로 부른다. 도드리장단을 사용하는 점에서 18세기 말엽 이후에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고 선율은 서도소리에 보이는 수심가토리에 가까우나 시김새가 서도소리보다 짙지 않고 경기민요에 보이는 경토리(京調)가 섞여서 특이한 음조(音調)를 같는다.

3. 휘모리잡가

빠른 속도로 몰아간다는 뜻의 잡가이고 서서 부른다. 장형시조의 사설내용은 상황설명, 주인공의 물음, 답변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해학적이고도 재미있는 말솜씨로 엮어지고, 사설시조와 유사한 점이 많으나 장단과 창법에 있어서 구별된다. 소리꾼들이 부를 때 흔히 처음에는 긴잡가를 부르고 다음에 입창을 부르고 나서 마지막에 휘모리잡가를 불렀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휘모리잡가로는 곰보타령·생매잡아·만학천봉·육칠월·흐린 날·한잔 부어라·병정타령·순검타령·기생타령·바위타령·비단타령·맹꽁이타령 등이 있다.

4. 잡잡가

산타령·12잡가·휘모리잡가 외의 잡가를 모두 잡잡가라고 부르는데 장대장타령·범벅타평·국문뒤풀이 등이 전해온다.
 

서도잡가(西道雜歌)

황해도와 평안도의 직업예능인에게 전승되어오는 전문가들의 노래를 가리키며, 서도민요 선법으로 되어 있다. 사설이 특히 길고, 장단없이 노래한다는 점 등을 특징으로 한다. 
공명가·사설공명가·제전·초한가·추풍감별곡·적벽부·관동팔경·영변가·관산융마 등이 있다. 특히 적벽부와 관산융마는 글을 읽는 듯한 소리로 노래하기 때문에 시창(詩唱) 또는 송서(頌書)라 하기도 한다. 산타령·서도잡가·시창과 송서로 세분된다.

1. 산타령(선소리)

경기 산타령의 영향을 받아서 새롭게 짠 음악으로 놀양(사거리)-앞산타령-뒷산타령-자진 산타령(경발림)의 네 곡을 순서대로 이어서 부른다. 노래의 구성은 경기 산타령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음계나 선율형태 등의 음악구조는 다르며, 사설 내용도 경기산타령과는 달리 자연을 노래하기 보다는 서사적인 내용의 가사가 많다.

2. 잡가

경기 12잡가처럼 뚜렷한 양식적 특징을 드러내지 않고 서사적인 사설내용을 불규칙 장단으로 부르다가 수심가 선율로 끝맺는다. 초한가·공명가·사설공명가·제전·전장가·초로인생·장한몽가·봉황곡·향산록 등의 노래가 전한다.

3. 시창(詩唱)

시를 읊는 것으로, 오언(五言)이나 칠언율시(七言律時)등의 한시를 노래조로 읊는 것이다. 일정한 창법이 없으며 한시를 무장단으로 길게 늘여 읊어 나가기 때문에 부르는 이에 따라서 읊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가장 많이 애창되는 곡으로는 "관산융마"가 있고 이 밖에 "경포대", "만경대"등도 잘 짜여진 곡으로 자주 불려진다.

'관산융마'는 조선 영조 때의 문인 신광수가 지은 공령시를 율조에 올려 부르는 것으로서 고결하고 단아한 선율이 아름답고, 비단결 같이 부드럽고 잔잔하며 대쪽을 가르는 듯한 낭랑한 잘 조화된 성음으로 한없이 길게 뻗는 명주실 같이 가는 속청과 단아한 선율을 가진 시원스럽고도 비에조가 섞인 매우 아름다운 예술성을 지닌 노래이다.
작자인 신광수 숙종 38년 임진(1712)년에 태어나 5세에 능히 글을 읽고 쓸 줄 알아 사람을 놀라게 하였다는 신동 이였다. 관산융마는 그의 과거시제로, 글제는 (등 악양루 탄 관산융마)인데 내용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 두보가 만년에 표랑하다가 악주의 악양루에 오른 일을 읊은 것이다.

'경포대'는 조선조 순종과 철종 연간 심영경의 시로 경포대의 빼어난 경치와 백구의 한가한 모습 등 대자연을 읊은 시로서 하늘에 뜬 달과 경포호에 비치는 달, 그리고 술잔에 비치는 달, 이렇게 달이 셋이라는 것을 묘사해서 지은 묘미 있고 낭만적인 유명한 시이다.

'만경대'는 조선조 중기의 문관으로 글씨에 명필이요 시재에 뛰어난 양사언이 만경대라는 명승지를 읊은 서경시이다. 이 시는 단순히 경치를 읊기보다 만경대의 풍치를 잘 나태내어 수채화를 보는 듯 맑고 담백하며 또한 양 사언의 속세를 초월한 풍모가 엿보이고 있다.

'촉성루'는 조선조 숙종 때(1681년)의 문장가 신유한이 지은 시로서 경상남도 진주의 진양성과 촉석루의 경개를 읊은 것이다. 주위의 평화로운 경치를 전쟁 없는 평화로운 시대로 묘사해서 지은 이 시재야 말로 걸작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영풍은 조선 중기(1607-1689)에 대유학자인 우암 송시열이 바람을 주제로 하여 지은 시이다.

4. 송서(頌書)
 
한문가사를 글 읽는 형태로 노래하는 것이다. 자주 불리는 '적벽부'는 중국 송대 시인 소동파(蘇東坡:1036~1011)의 시인데, 적벽부는 ‘단가’로도 부르고 있다.

 

남도잡가(南道雜歌)

호남지방의 직업예능인들 사이에 전해오는 노래인데 판소리라는 장르에 치중한 탓인지 경기잡가나 서도잡가에 비하여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 보렴·화초사거리·육자배기를 이어서 부른다.

1. 보렴

보시염불(報施念佛)의 줄인 말로 불경과 무속의 기원문을 바탕으로 한 축원 노래이며 사당패들이 시주님네를 위해 부르는 '비나리'가 잡가의 한 형태로 정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도습(자유장단)의 순서로 노래한다.

2. 화초사거리

경기 산타령을 경사거리라 하듯이, 남도 음악으로 짜여진 산타령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산천초목이 무성한데 구경가세"라는 첫 대목은 경기놀량 가사의 첫대목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으로, 경기놀양의 형태가 입타령으로 차용된 것에서도 경기놀량의 영향을 볼 수 있다. 중모리 장단으로 시작하지만 일반형에서 벗어나서 12박을 그대로 지키지 않고 장단의 틀에 변화가 많다.

3. 육자배기

여섯박자로 짜여진 노래라는 뜻으로 임을 기다리고 그리워하는 내용이다. 초·중·종장으로 나뉘어 중장과 종장은 선율이 고정되어 있고, 초장은 자주 바뀐다. 육자배기 뒤에는 자진육자배기가 이어지는데, 이 노래는  상장개비장단으로 육자배기와 짝을 이룬다. 육자배기 뒤에는 흥타령과 개고리 타령을 이어서 부르기도 한다.

 

음악의 멋

한쪽 무릎위로 두 손을 고이 모으고 부르는 경기잡가에서 여성의 내적 아름다움을 보게되며, 하나의 극을 연상하게 되는 남도잡가, 그리고 소설을 읽는 듯한 서도잡가 등 삼도의 잡가가 제각기 독특한 멋을 품고 있다. 
-이성천-

산타령은 농본 사회의 훈훈한 인정에 취하고 사시가 분명한 대자연의 정취에 취한 소리패들이 사랑에 살고, 노래에 죽어 가며 한판 벌여 본 인생 드라마의 편린이자, 사라져 간 우리의 시속과 잊혀져 간 우리네 정서 지대의 한 단면임이 분명하다. 
-한명희-

 

'한국음악, 갈래이야기 > 성악 연주형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가사 가사모음  (0) 2010.05.31
민요(民謠)  (0) 2010.05.28
판소리  (0) 2010.05.28
시조(時調)  (0) 2010.05.28
가사(歌詞)  (0) 2010.05.2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