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묘제례악은 공자를 비롯하여 그의 제자인 안자, 증자, 자사, 맹자와 우리나라의 유학자 설총, 최치원, 정포은, 이율곡, 이퇴계 등 명현 16위의 위패를 모신 사당에 제사할 때 행하는 악․가․무 일체를 말하며 이를 ‘문묘악’이라 줄여서 부르기도 하고 ‘석전제악’이라고도 하며 영신례 절차의 악명인 ‘응안지악(凝安之樂)’을 문묘악의 일반명칭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역사

문묘제례악은 본래 중국 상고시대에 기원을 둔 음악으로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1116년) 중국 송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왕자지(王字之)와 문공미(門公美)가 돌아오면서 송나라의 대성아악(大晟雅樂)을 들여오면서 시작되었고, 이후에 원구(원丘)·사직(社稷)·태묘(太廟)·문묘(文廟) 등의 제향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오늘날 전하는 문묘제례악은 조선시대 세종 때 박연(朴堧)이 중심이 되어 원나라의 임우(林宇)가 쓴 『석전악보』(釋奠樂譜)를 참고로 하여 여신악 황종궁 외 11곡과 송신악 중에서 송신협종궁, 송신임종궁, 송신황종궁을 합한 15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팔음(八音)을 제대로 갖추고, 아악보를 만들어 옛 주(周)나라의 악제에 가까운 틀을 마련하였다.

그 뒤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을 거치면서 약화되었다가 영조(英祖)때 다시 복구되었으며 이것이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현재 연주되고 있는 곡은 영신황종궁(迎神黃鍾宮), 고선궁(姑선宮), ·중려궁(仲呂宮), 이칙궁(夷則宮), 남려궁(南呂宮), 송신황종궁(送神黃鍾宮) 이상 6곡이다.

지금도 성균관 대성전의 석전의식에서 봄(음력2월), 가을(음력 8월)에 문묘제례악과 악장과 일무가 동시에 연행된다.

음악

등가(登歌)와 헌가(軒架)라는 두 개의 악단이 번갈아가며 연주를 한다. 대뜰 위에 위치하는 등가에는 편종·편경·특종·금·슬·소·훈·지·약·적·어·박·노래 등이 편성되고, 음려(陰呂)에 해당하는 남려궁을 연주한다 - 타악기, 현악기와 노래가 중심이 되며 선조의 문덕을 기리는데 쓰인다. 
명안지악(明安之樂), 성안지악(成安之樂), 오안지악(娛安之樂) 등이 연주되며 이 음악의 실제 연주내용은 모두 남여궁 한 곡으로, 남여궁은 영신황종궁을 9율 높여 이조한 것이나 각 악기가 갖는 음역의 제한으로 완전한 형태의 이조형식을 갖춘 것은 아니다.

대뜰 아래 위치하는 헌가에는 편종·편경·노고·노도·진고·훈·지·약·적·부·축·어·박 등이 편성되고, 양률(陽律)에 해당하는 황종궁·고선궁 등을 연주한다. - 관악기와 타악기가 중심이 되며 선조의 무공을 기리는데 쓰인다.
응안지악(凝安之樂), 서안지악(舒安之樂), 성안지악(成安之樂) 등이 연주되며 이러한 음악의 명칭은 각 절차에 따른 형식적인 이름이고 실제 연주되는 음악의 이름은 따로 있는데, 응안지악의 실제연주곡명은 황종궁, 중려궁, 이칙궁, 남려궁, 송신황종궁이고 서안지악과 성안지악은 고선궁이다.
황종궁은 영신악 11곡의 원곡에 해당되며 3회 연속 연주한다. 중려궁은 황종궁을 5율 높여 이조한 곡으로 황종궁에 이어 2회 연속 연주한다. 이칙웅은 황종궁을 8율 높여 이조한 곡으로 2회 연속 연주하며, 남려궁은 황종궁을 9율 높여 이조한 곡으로 역시 2회 연속 연주한다. 이상의 곡을 영신 9성이라 한다.
송신황종궁은 영신악과는 다른 송신악 중 첫번째 곡으로 독립된 곡이나 음계는 동일하다.
헌가의 악기배치는 제례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갖고 있다.

춤(일무:佾舞)

문묘제례에서 사용되는 일무는 64명이 추는 8일무이며, 문무와 무무로 나뉜다.
문무는 오른손에 적(翟)과 왼손에 약(약)을 들고 춤을 춘다.
무무는 오른손에 척(戚:도끼)과 왼손에 간(干:방패)을 들고 춤을 춘다.
영신·전폐·초헌의 의식 절차에서는 문무를 추고, 아헌과 종헌에서는 무무를 춘다.

의식의 절차와 음악

문묘제례의 의식 절차는 영신(迎新)·전폐(奠幣)·초헌(初獻)·공악(空樂)·아헌(亞獻)·종헌(終獻)·철변두(徹邊豆)·송신(送神)· 망료(望燎)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절차에 따른 악곡·주악위치·일무 등은 다음과 같다.

절  차

악 곡 명

악    명

주악위치

일   무

 의식 절차의 내용

영  신

황종궁
중려궁
남려궁
이칙궁

응안지악

헌가

문  무

 신을 맞이하는 것

전  폐

남려궁

명안지악

등가

문  무

 폐백을 올리는 것

초  헌

남려궁

성안지악

등가

문  무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것

공  악

고선궁

서안지악

헌가

문무퇴장
무무입장

없   음

아  헌

고선궁

성안지악

헌가

무  무

 두번째 술잔을 올리는 것

종  헌

고선궁

성안지악

헌가

무  무

 마지막 술잔을 올리는 것

철변두

남려궁

오안지악

등가

없  음

 제사지낸 그릇을 덮는 것

송  신

송신황종궁

응안지악

헌가

없  음

 신을 보내는 것

망  료

송신황종궁

응안지악

헌가

없  음

 축문을 태우는 것

음악적 특징

  • 4음이 1구가 되고 8구가 모여 한 곡이 되고 각 구가 끝날 때마다 북을 두 번씩 쳐서 단락감을 주며, 각 음의 끝을 장2도 정도 끌어올리는 독특한 시김새를 쓴다.
  • 영신악 12곡은 황종궁을 주곡으로 하여 1율씩 차례로 이조한 곡이다.
  • 7음 음계로 되어 있으며 1자에 1음이 붙는 형태로 되어 있다.
  • 음역은 12율 4청성(1옥타브+단3도)의 한정된 음역만을 사용한다.
  • 주음으로 시작하여 주음으로 끝난다.
  • 문묘제례악에 사용되는 악기는 모두 아악기로 팔음을 갖추고 있다. 
  • 악기편성이 서로 다른 등가와 헌가는 절차에 따라 교대로 연주하며, 등가의 소리는 매우 밝고 투명하고 헌가는 등가에 비해 그 음량이 크고 소리도 투박하며 씩씩하다.

음악의 멋

고풍스런 울 안에서 육중한 전각을 배경으로 펼치는 제례 음악의 공연 마당은 비단 청각적인 예술의 범주를 뛰어넘어 시각적이고도 종합예술적인 감흥을 두루 안겨주는 소중한 문화 체험의 현장이 아닐 수 없다.
-한명희-

'한국음악, 갈래이야기 > 가.무.악 종합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굿음악(무악:巫樂)  (0) 2010.05.30
범패(梵唄)  (0) 2010.05.30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0) 2010.05.30
가.무.악 종합예술은..  (0) 2010.05.3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