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풍류(竹風流)는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가 중심이 되어 연주하는 풍류음악이라는 뜻으로, 취타부터 시작하여 별곡타령으로 끝나는 '취타풍류'와 긴염불로 시작하여 끝나는 '염불풍류'가 현재 연주되고 있다.
취타풍류는 취타, 길군악, 길타령, 삼현타령, 별곡타령으로 짜여져있고 염불풍류는 긴염불(염불타령), 반염불, 삼현타령(1장), 느린 허튼타령, 중 허튼타령, 자진 허튼타령, 굿거리, 자진굿거리, 당악(휘모리)으로 짜여져 있다. 이 중 염불풍류는 지영희에 의해 전해진 경기, 서울지방의 무용(승무, 검무 등) 및 탈춤, 굿 등의 반주 음악으로 사용되어 온 음악의 모음으로 긴염불, 반염불, 굿거리, 자진굿거리 등은 승무의 반주음악으로 사용되며 허튼타령은 탈춤에, 당악은 경기굿에서 사용된다. 각 곡은 모두 반복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삼현타령은 원래 관악 영산회상 혹은 관악취타 곡 뒤에 연주되던 곡이지만 대풍류에서는 반염불과 허튼타령 사이에 끼워 1장 여섯 장단만 연주함으로 염불타령(솔라도레미)과 허튼타령(라도레미솔)의 음계적 이질감이 해소되는데, 삼현타령 1장(타령 여섯 장단) 중 앞 세 장단은 솔음계로, 뒤 세 장단은 라음계로 바뀐다. 즉 F음은 솔에서 라음으로 그 기능이 바뀌면서 허튼타령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허튼타령군(느린 허튼타령, 중 허튼타령, 자진 허튼타령)은 느린 허튼 타령이 원래의 곡이며 피리, 대금, 해금이 각각 허튼 가락을 연주하며 서로 조화를 이룬다. 곡 이름인 허튼타령에서 '허튼'은 고정된 선율이 아니고 연주자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는 즉흥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도 하며 당악(휘모리)은 원래 빠른 속도의 경기 굿음악이다.

연주악기

향피리 2(목피리, 곁피리), 대금, 해금 ,북, 장고 등 삼현육각(三絃六角)의 편성으로 연주한다.


특징

  • 대풍류에 사용되는 장단은 1박과 4박 장단으로 이는 도드리장단과 타령장단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도드리장단은 긴염불, 반염불 그리고 굿거리에 사용되며 긴염불에 사용되는 도드리장단은 반염불보다 약 세배정도 느린 속도로 연주되므로 전통음악에서 가장느린 도드리장단이며, 이에 비해 반염불은 보통 속도의 도드리장단으로 잔가락을 덜고 친다. 
  • 도드리장단은 첫째박부터 셋째박까지는 강하게 그리고 넷째박 이하는 약하게 연주하며, 4박 계열의 타령과 굿거리는 첫째박부터 둘째박까지는 강하게 그리고 셋째박 이하는 약하게 연주한다.
  • 음악의 짜임새는 긴염불에서 당악(휘모리)까지 모두 단선율적 성부에 각 악기 즉 피리, 대금, 해금이 가지고 있는 각 악기의 특징을 충분히 살려 비슷한 선율을 연주하며 서로의 조화를 꾀하고 있는데, 음량이 큰 피리 선율을 중심으로 각 악기의 특성에 맞는 가락을 연주한다.
  • 당악(휘모리)에는 장별 구분이 없는 대신 합주로 연주할 때 대금과 해금은 쉬고 피리만 연주하는 쇠는 부분이 있다.
  • 곡의 맨 마지막에는 느린 굿거리를 붙여서 연주하여 빠른 속도의 음악으로 긴장되어 있던 감정을 이완시키며 느린 장단으로 풀어주며 끝을 맺는다.
  • 떠는 음의 위치와 음을 흘러내리거나 끌어올리는 연주기법 이외에 피리의 경우 손가락을 이용하여 '푸덩푸덩'하는 소리를 내는 '더름' 기법, 또는 뒷구멍을 이용하여 혀로 음정 및 소리의 느낌을 조절하는'혀치기' 기법 등이 사용된다.

'한국음악, 갈래이야기 > 기악 연주형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물놀이  (0) 2010.05.31
시나위  (0) 2010.05.31
영산회상(靈山會相)  (0) 2010.05.31
취타(吹打)  (0) 2010.05.31
낙양춘(洛陽春)  (0) 2010.05.3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