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떤 민족이 살아온 삶의 모습과 과정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그 민족이 살아온 삶의 모습과 과정이 노래의 형태로 나타나 정착된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민요에는 민중이나 생활 공동체의 미적 심성과 정서가 담겨있기 마련이고 자연발생적 성격을 지닌다. 또한 일정한 규범이나 악보가 없이 전승되는 음악이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많은 변모의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른다.

민요가 어느 정도 파급되었는가에 따라 통속민요와 토속민요로 나누기도 하고 어느 지역의 특성을 가졌는가에 따라 경기민요·남도민요·동부민요·서도민요·제주민요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민요에 쓰이는 장단은 불균등하거나 균등한 장단이 반복되는 형태와 일정한 장단이 없으면서 박자가 들쭉날쭉한 무패턴 불규칙형, 즉 불규칙 형태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통속민요는 거의가 반복형태이고 토속민요에는 불규칙형태가 많아서 장단의 보편성이 노래의 보편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통속민요와 토속민요

1. 통속민요

이미 넓은 지역에 퍼져서 음악적으로 많이 세련된 민요를 말한다.

아리랑·밀양아리랑·도라지타령·방아타령·강원도아리랑·농부가·육자배기·수심가·천안삼거리 등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민요들이 이에 속하며음악적인 짜임새나 사설의 구성이 잘되어 있어서 주로 전문 소리꾼들이 부르기를 좋아하였고, 이에 따라서 더욱 널리 전파되게 되었으며 가락이 비교적 세련되어 있다. 토속민요 가운데 전문 음악인들이 자주 불러 통속민요화시킨 것도 많이 있기 때문에 통속민요와 토속민요 사이에 구별이 분명치 않은 것도 있다.

2. 토속민요

어느 한 지역에 한정되어 불려지고 있는 민요들을 말한다.

통속민요에 비하여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전문가보다는 비전문가들에 의하여 불려진다.사설이나 가락이 비교적 소박한 대신 향토적인 특성을 깊이 간직하고 있고 그 마을의 삶과 정서를 함축하고 있는 훌륭한 문화적 유산이다. 지역마다 같은 이름을 가졌어도 그 가사나 가락이 서로 차이점을 가지고 있어 각기 해당지역의 음악적 특성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그 기능 및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한다.

농       요

:

농부들이 농사를 지으면서 부르던 노래로서, 모찌기소리·모심기소리·논매기소리·벼타작소리·방아찧는소리·보리타작소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어       요

:

어부들이 고기잡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로서, 즐꼬기소리·배내리기소리·노젓기소리·그물당기기소리·고기푸는소리·멸치후리는소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타노동요

:

농업과 어업을 제외한 다른 노동을 하면서 부르던 노래로서, 꼴베기소리·나무내리는소리·물레소리·베틀소리·망건뜯기소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의  식  요

:

결혼의식이나 장례의식에서 부르던 노래로서, 발인소리·운상소리·자진운상소리·달구소리·지신밟기소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부  녀  요

:

부녀자들이 집 안에서 생활을 하면서 부르던 노래로서, 시집살이노래·애기어르는소리·신세한탄가·나물뜬기노래·바느질노래·빨래노래· 방아노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동       요

:

그 주제에 따라 동물요, 식물요, 놀이요, 애무요, 서정요 등이 있다.
지금 어린이들에게는 잘 불려지지 않아 '전래동요'가 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노인들의 기억속에 조금씩 남아 있을 뿐, 점점 소멸되어 가고 있다.

   

동물요(동물을 노래) : 개구리·꿩꿩장서방·앞니빠진 중강새·장닭·거미·징거미·두꺼비 등에 관한노래들

   

식물요(식물을 노래) : 신랑방에 불켜라·외따기노래

   

놀이요(놀면서 부른 노래) : 수자풀이·아이구 뜨거워·줄넘기·얼굴 그리기·경상도 기와밝기·이거리 저거리 각거리·대문놀이·쥔쥐잡기·두껍아두껍아·소굽놀이

   

애무요(아이들을 재우거나 달래는 노래) : 아이보개·자장가·둥개둥개둥야·불불 불어라

   

서정요(서정적인 주제를 다룬것) : 달아달아 밝은 달아·비야 비야·이박 저박



지역별 민요

1. 경기민요

서울·경기 지방의 민요들을 말한다.
노래의 느낌은 대체로 맑고 경쾌하며 말붙임새가 독특하고 선율의 굴곡이 유연하면서도 장식음이 많으며 창부타령이나 노랫가락처럼 솔·라·도·레·미의 5음 음계를 사용하는 민요들이 있고 또한 한강수타령이나 베틀가처럼 라·도·레·미·솔의 5음 음계를 사용하는 민요들도 있다. 이 가운데 창부타령에서와 같이 솔·라·도·레·미의 5음 음계로 구성된 창법적인 특성을 창부타령조라 하는데 이는 경기민요의 대표적인 특성이다. 굿거리장단이나 타령장단 또는 세마치장단 등이 많이 사용되고 말붙임새가 독특하고 선율의 굴곡이 유연하면서도 장식음이 많다. 아리랑·경복궁타령·군밤타령·노들강변·노랫가락·는실타령·닐리리야·도라지타령·방아타령·베틀가· 사발가·양류가·양산도·오돌독·오봉산타령·자진방아타령·창부타령·한강수타령·천안삼거리 등.

2. 남도민요

전라도를 중심으로, 충청남도 일부 지역과 경상남도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지방의 민요들을 말한다.
소리가 구성지고 극적이며 강렬한 표현력을 가지고 있고 음계는 미·라·시의 3음을 중심으로 하는데 미음은 떠는 음, 라음은 평으로 내는 음, 그리고 시음은 꺾는 음이 된다. 창법은 굵은 목을 쓰고 극적으로 표현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창조(唱調)를 육자배기조(육자배기토리) 또는 남도 계면조라고도 하는데 판소리나 산조 등에서 매우 중요한 조로 사용되고 있다. 장단은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 등이 흔히 사용된다. 강강술래·자진강강술래·남원산성·농부가·육자배기·자진육자배기·진도아리랑·흥타령 등이 불려진다.

3. 동부민요

태백산맥 동쪽의 강원도·함경도·경상도 지방의 민요들을 말한다. 
가락에 굴곡이 대체로 심한 편이며, 창법도 씩씩한 느낌을 주는 등, 동부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특색이 음악에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강원도나 함경도의 민요는 탄식이나 애원조의 노래가 많다. 음계는 미·솔·라·도·레의 5음을 사용하고, 그 중에 특히 미·라·도의 3음을 많이 사용한다. 미 또는 라에서 종지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창조를 흔히 메나리조라고 한다. 세마치장단이나 자진모리장단 등 비교적 빠른 장단이 많이 사용된다. 함경도의 신고산타령·애원성·궁초댕기, 강원도의 한오백년·정선아리랑·강원도아리랑, 경상도의 밀양아리랑·울산아가씨·쾌지나칭칭나네·옹헤야 등이 불려진다.

4. 서도민요

평안도와 황해도 지방의 민요를 말한다.
서도민요들은 대개 기악반주를 하지 않는다는 점, 콧소리를 많이 사용한다는 점, 요성을 많이 사용한다는 점 등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음계는 레·미·솔·라·도의 5음 음계를 사용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레·라·도의 3음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에서 라음으로 흘러내는 가락이 많으며 라음을 많이 떨어주고, 레 또는 라음에서 종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창조를 흔히 수심가조(수심가토리)라고 한다.평안도의 수심가·엮음수심가·긴아리·자진아리·안주애원성·배따라기·자진배따라기 등과, 황해도의 산염불·자진염불·긴난봉가·자진난봉가·사리원난봉가·숙천난봉가·몽금포타령 등이 불려진다.

5. 제주도민요

제주도 지방의 민요를 말한다.
음계는 서도 지방의 민요에 나타나는 레음계가 가장 많이 쓰인다. 그러나 선율골격이나 종지형태는 서도민요와 다르다. 음악적 특징으로 보아 제주도에서 순수하게 발생한 민요들과 육지의 영향을 받은 민요들이 공존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제주도의 민요는 경기민요 또는 서도민요와 유사한 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특이한 방언으로 인하여 다른 맛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문 소리꾼들의 교류가 어려웠기 때문에 통속민요보다는 토속민요가 더 많이 발달해 온 것으로 여겨진다. 오돌또기·이야홍타령·봉지가·산천초목·중타령·서우제소리·개구리타령·계화타령 등이 불려진다.
 

음악의 멋

영남풍은 웅훈(雄훈)하며 위압적이고, 호남풍은 일반적으로 여유가 있고 부드러우며, 서울풍은 맑고 한아(閑雅)하며 궁정적(宮廷的)인 맛이 넘쳐 흐르고, 서도풍은 어딘지 모르게 촉박(促迫)하고 탄식하는 듯 상심(傷心) 아닌 것이 없다. 
-최남선-

민요속에는 조상들의 관심이 얽혀 있고, 삶의 형태가 그려져 있고, 철학이 있다. 기쁨과 슬픔이 있고, 사랑과 원망이 있고, 이별의 한과 위로의 정이 깃들어 있다. 말하자면 누구나 느끼게 되는 모든 정감과 생각이 거의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권덕원-

민요는 스스로의 해탈이다. 아무나 노래할 수 있는 것이 민요이고, 어떠한 사설을 붙여도 좋은 것이 민요이다. 생활속에서 일어나는 슬프고도 기쁜 감정을 스스럼없이 노래하는 것도 민요이다. 말과 노래는 자신이며 인생이다. ... 민요는 생명의 소리인 동시에 삶의 소리이다. 많은 형식, 다양한 양식의 음악이 있으나 민요만큼 삶을 삭이고 녹인 형식은 없으며, 민요만큼 때없이 순수무구한 형식도 없으며, 민요만큼 넓은 영역의 표현형식을 가진 음악이 없을 것이다. 이런 이유로 나는 민요가 모든 음악의 어머니라고 말한다. 
-이성천-

 

'한국음악, 갈래이야기 > 성악 연주형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가사 가사모음  (0) 2010.05.31
잡가(雜歌)  (0) 2010.05.28
판소리  (0) 2010.05.28
시조(時調)  (0) 2010.05.28
가사(歌詞)  (0) 2010.05.2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