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문으로 된 용비어천가의 1· 2· 3· 4장과 마지막 장을 노래하던 성악곡에서 변화하여 지금은 그 가사가 없는 순수 기악곡으로 연주되는 곡이다.

유래

원래는 용비어천가를 노래하던 성악곡이었다. 용비어천가는 조선 건국의 위대함과 조상의 큰 공덕을 찬양하는 노래 가사로 세종29년(1445) 권제, 정인지, 안지 등이 지어 올렸는데, 국한문 가사와 순한문 가사 두 종류가 있고 전부 12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비어천가를 노래한 음악은『세종실록』권140부터 권145까지 봉래의(鳳來儀)의 악보에 전하는데, 이중에 치화평, 취풍형은 국한문 용비어천가를 노래한 것이고 여민락은 순한문 용비어천가 125장 중에서 1장, 2장, 3장, 4장과 마지막 장의 가사를 10장으로 나누어 7장 까지를 상칠장, 나머지를 하삼장으로 구분하여 관현악 반주로 노래했던 성악곡이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이러한 용비어천가를 노래한 여민락계 음악은 이 외에 정대업, 보태평 등과 함께 세종이 국초에 중국계의 고취악(鼓吹樂)을 모체로 하여 새로운 음악으로 창제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 연주되고 있는 여민락은 가사도 없어지고 또 완전히 향악화된 기악곡으로 관현합주로 연주하는 여민락과 당피리 편성의 여민락만, 여민락령, 해령 이렇게 4종류가 있는데, 이 중『세종실록』악보에 전하는 여민락은 여민락만에 해당한다.


파생곡 및 다른이름(雅名)

여 민 락

:

승평만세지곡(昇平萬歲之曲), 오운개서조

여민락만

:

만(慢), 경록무강지곡(景록無彊之曲), 만엽치요곡

여민락령

:

령, 본령, 태평춘지곡(太平春之曲)

해      령

:

서일화지곡(瑞日和之曲)


연주악기

여 민 락

:

피리2, 대금, 당적, 해금, 가야금, 거문고, 아쟁, 좌고, 장구. <대편성>

여민락만

:

편종, 편경, 당피리, 대금, 당적, 방향, 해금. <대편성>

여민락령

:

편종, 편경, 당피리, 대금, 당적, 방향, 해금. <대편성>

해      령

:

편종, 편경, 당피리, 대금, 당적, 방향, 해금. <대편성>

 

파생곡

1. 여민락(與民樂)

현재의 여민락은 7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은 원가락 12장단과 여음 20장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 32장단으로 짜여져 있다. 여음의 전반부에서 피리의 저음역 선율을 목피리 연주자가 한 옥타브 올려 '쇠는 가락'으로 연주하고 제1장에서 제3장까지는 한 장단 20박으로 느린 속도로 연주되며, 제4장부터 제7장까지는 한 장단 10박으로 바뀌어 속도가 빨라지는데 이것을 '급박(急拍)'이라고 말한다.출현하는 음들은 황·태·중·임·남·무의 6음이지만 무역음은 제6장의 한 장단에만 출현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황·태·중·임·남의 5음 음계와 크게 다를 바 없다.
한때 현악기 위주의 편성과 관악기 위주의 편성으로 구분하여 연주하기도 했는데, 현악기 위주로 편성하여 연주하는 여민락을 오운개서조(五雲開瑞朝) 그리고 관악기 위주로 편성하여 연주하는 여민락을 승평만세지곡((昇平萬歲之曲)이라고 하였으나 지금은 주로 관현합주로 연주하며, 아명(雅名)도 승평만세지곡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다.

2. 여민락만(與民樂慢)

향악과 중국계의 고취악의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진 음악으로 세종 당시에는 여민락이라고 불렀다. 순한문 가사의 용비어천가 1, 2, 3, 4장과 마지막 장을 상칠장과 하삼장으로 나누어 노래한 곡으로 편종, 편경, 당피리가 주도하는 일종의 관악합주로 당악계 음악으로 분류된다. 
장단은 없으며 절주는 불규칙하고 순차적으로 하행 종지한다.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장단은 없다. 음계는 황·태·고·중·임·남·응의 7음으로 아악 7음계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궁중의식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임금의 출궁(出宮)과 환궁(還宮) 및 사신 행차때 행악으로 사용되었다.

3. 여민락령(與民樂令)

처음에는 여민락령(與民樂令)이라고 불려졌지만 파생곡인 해령이 생기면서부터 본령(本令)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직게 되었다. 편종, 편경, 당피리 편성의 관악합주곡으로 당악계 음악으로 분류되며 음계는 황·태·중·임·남 등의 5음계이고, 연주시간은 약 8분 정도 걸린다. 절주는 불규칙하지만 분명하다. 궁중에서 임금의 행차나 거동시 행악이나 연례악으로 사용되어 왔다. 

4. 해령(解令)

해령이란 이름은 여민락령을 풀어서 변주한 곡이라는 뜻으로 조선시대 말기부터 연주한 곡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민락령의 32마루 중에서 16마루까지의 가락에 간음과 장식음을 넣어서 변화시킨 곡이다. 당피리 편성의 관악합주곡으로 당악계 음악으로 분류되며 모두 16장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복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대개는 16장 중에 5∼6장만을 뽑아 연주한다(흔히 1장·2장·4장·9장·16장을 연주). 악보상으로는 협종음과 무역음이 출현하고 실제 연주에서는 고선음과 응종음이 출현하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음악을 통해서 보면 황·태·중·임·남의 5음 음계로 이루어져 있고 박자는 불규칙하며 연음을 사용한다. 조선시대에는 행악으로 사용되었다.

  

'한국음악, 갈래이야기 > 기악 연주형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타(吹打)  (0) 2010.05.31
낙양춘(洛陽春)  (0) 2010.05.31
보허자(步虛子)  (0) 2010.05.31
수제천(壽齊天)  (0) 2010.05.31
기악 연주형태는...  (0) 2010.05.3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